#2 [타입 추론] var 과 dynamic 차이 Dart언어는 타입 추론을 지원한다. 값이 들어올 때 타입을 추론하여 변수를 초기화시킨다. 그 과정에서 var은 타입 변경이 불가능하고 dynamic은 가능하다. 예시를 보면 타입 변경을 할 시 에러가 뜬다. 그러나 dynamic은 변경이 가능하다. Flutter/Dart 2021.09.02
#1 int main vs void main vs main 차이 결론적으로 차이는 없다. 다만, main앞에 붙는 것들은 함수의 리턴값의 데이터형이다. int라면 리턴값의 데이터형을 정수로 받겠다는 뜻이고 void는 아무것도 받지 않는다는 뜻이고 main은 void와 같다. 그러나 왈가왈부할것없이 운영체제의 입장이 아닌 사용자 입장에선 아무 차이가 없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면 된다. Flutter/Dart 2021.09.02
'Cannot run run with sound null safety' 오류방법 오늘 작업을 하다가 pubyaml 파일에 지정한 코드들이 에러가 떴다. 널 값에 대하여 안전하지 못해서 가동하지 않는 듯하다. 추가해주면 해결 Flutter/Flutter error 2021.08.20
TextButton 을 설정할 때 화면에 뜨지 않는 경우 메신저 만들기를 하면서 겪었던 오류를 이야기하기 전에 Flatbutton이 TextButton으로 바뀌었다. 버전의 변경 때문인지 여하튼. body부분에서 TextButton까지 잘 지정해주고 실행을 시켜보았다. 그러나 아무것도 뜨지 않는다. 왜? 우선 실행 후 디버그 창을 확인했다. 읽어보니 ''the parent widget does not provide a finite width constraint'' 이란 구문이 보인다. 즉 가로길이의 대한 정의가 없기 때문에 화면에 표시가 되지 않는 것. 우선 Textbutton은 가로의 대한 기본값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상위 TextField는 기본값 자체가 없다. 즉 TextField도 가로의 대한 정의가 적용시키면 된다. 1. TextField를 Ex.. Flutter/Flutter error 2021.08.16
MaterialApp Scaffold Icon Image 위젯 정의 우리는 앱을 만들 때 Text 위젯을 바로 쓰면 편한데 항상 MaterialApp과 Scaffold로 감싸고 있죠. 둘 다 구글 전용 디자인을 쓰기 위해서 필요한 거예요. MaterialApp - 말 그대로 구글 머터리얼 디자인을 쓰겠단 뜻이에요. 전체 앱의 테마나 색깔 등을 정할 수 있어요. Scaffold - 머터리얼 디자인의 구조를 잡아줘요. 뼈대 느낌이죠. ------------------------------------------------------------------- 한편 우리는 Text 대신 Icon이라는 위젯을 사용할 수 있어요. Icon() 위젯 사용 시 아이콘이 화면에 뜬답니다. 플러터는 여러 아이콘들을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빠르게 앱을 만들 때 편리합니다~ 이번엔 Ic.. Flutter/Flutter Dictionary 2021.08.15
what is Widget? 위젯이란? 위젯이 뭘까요? 플러터 앱에 있는 모든 모든 모든 게 위젯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Text나 button이나 레이아웃 전체 모든 것들이 위젯이죠. MaterialApp, Scaffold 등등 모두 다~ 위젯입니다. 플러터는 위젯 안에 위젯을 넣는 방식으로 앱을 만들어요. 가장 바깥의 위젯을 만들고 그 안에 위젯을 만들고 트리처럼 쭉쭉쭉쭉.... UI를 만들어가죠. 구조는 뒤집어진 나무와 같답니다. 기본적으로 MaterialApp이 가장 위에 있으며 아래로 위젯들이 붙죠. 당연히 필요 따라 얼마든지 위젯들이 추가될 수 있어요. 간단히 정리하면 위젯은 UI를 만드는 기본 단위이며 안에서 밖으로 하나씩 더해주는 느낌이에요. Flutter/Flutter Dictionary 2021.08.15
14. Drawer 메뉴 만들기 실제 기능을 하는 앱바 클릭 시 아직 한 게 없기 때문에 UserAccountDrawerHeader을 사용해서 메뉴판을 꾸며준다. 그리고 accountName과 accountEmail을 required 즉 무조건 필요로 하기 때문에 작성해주면 곡선을 주려고 한다. 검은색 선이 거슬리긴 하는데 일단 넘어가자 [다음으로 ListView에서 ListTile을 할 차례] trailing으로 추가적인 메뉴 아이콘 설정 그리고 복붙 해서 3개 정도 만들어본다. [완성] Flutter/Flutter Study 2021.08.13
13. 앱바(app bar) 메뉴 아이콘 추가하기 leading: 아이콘 버튼이나 간단한 위젯을 왼쪽에 배치할 때 actions: 복수의 아이콘 버튼 등을 오른쪽에 배치할 때 onPressed: 함수의 형태로 일반 버튼이나 아이콘 버튼을 터치했을 때 일어나는 이벤트를 정의 메뉴만 만들었지 버튼을 터치해서 액션을 취할 것을 주지 않았기 때문에 오류 그렇기 때문에 onpressed 해주면 메뉴창이 뜨면서 만약 클릭한다면 터미널 콘솔 창에 뜨는 걸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debug는 거슬려서 없앴다. Flutter/Flutter Study 2021.08.12
12. 플러터 다트(dart) 핵심정리: 클래스와 위젯의 정체 2 생성자와 관련된 함수의 구조와 기능 생성자의 구조와 역할 클래스와 위젯의 관계 파이썬 기본 문법과 크게 다르지 않다. Person안에 변수들을 위와 같이 넣어주며 변수와 변수를 구분 두기 위해 this. 입력 지금까지 강의에서 사용했던 모든 위젯들은 Class를 통해서 나온 인스턴스들이었다. Flutter/Flutter Study 2021.08.10
11. 플러터 다트(dart) 핵심정리: 클래스와 위젯의 정체 1 Class and Widget 스마트폰 설계 시 필요한 설계도 부품들의 담당기능 정의 필요 스마트폰 시리얼 넘버 부품 고유의 시리얼 넘버 하나의 틀 그러나 구분이 가능한 서로 다른 스마트폰 Dart에는 Class{ 속성: 액정, 카메라 모듈, 홈버튼, 스크린 기능: 전화 걸기, 사진 찍기, 인터넷 검색 } 버전 변경에 따라 error가 뜬다. Flutter/Flutter Study 2021.08.10